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사회복지2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실천분야(2) [ 목차 ]  1. 자살예방사업 및 자살예방센터  2.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3. 정신요양시설1. 자살예방사업 및 자살예방센터자살예방사업의 목적은 자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책무와 예방정책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고 생명존중문화를 조성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2011년 3월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 화 조성을 위한 법률」이 제정되어 이듬해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이 법률에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사업주가 자살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해 책임과 조치를 다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가 자살예방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고 자살예방센터를 설치, 운영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으로는, 정신질환과 자살에 대한 인식개선사업, 학생 자살예방 및 위기관리체계 .. 2024. 5. 1.
정신질환에 대한 관점 [ 목차 ]  1. 생물학적 관점  2. 심리학적 관점  3. 사회학적 및 통합적 관점1. 생물학적 관점생물학적 관점에 의하면, 정신질환이란 개인의 생물학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생물학적 요소에는 정상적인 생물학, 질병과정, 유전적 요소, 그리고 개인의 생물학적 기능과 이들의 관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정신질환은 신경학적 이상, 신경 전달물질의 이상, 뇌파나 호르몬의 이상,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보았습니다. 정신기능과 뇌 사이의 분명한 관계를 아직 확실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으나, 뇌의 장애는 정신기능의 변화를 초래합니다. 생물학적 관점에서는 뇌세포와 신경교감 세포 등에 이상이 생기면 신경 학적 이상 증세, 신경심리학적 결함, 경련성 질환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습니다(김.. 2024. 4. 30.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분야(1) [ 목차 ]  1. 정신의료기관  2. 광역 기초 정신보건센터  3. 정신재활시설1. 정신의료기관정신의료기관은 의료법상 의료기관으로 분류되며, 관련 법률 제3조에서는"의료법 제19조 제1항에 의한 의료기관 중 주로 정신질환자의 치료를 행할 목적으로 설치된 병원(이하 정신병원이라 한다)과 의원 및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에 설치된 정신건강의학과"를 정신의료기관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신 의료기관을 설립주체에 따라 분류하면, 국• 공립 정신의료기관과 민간 정신의료기관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국•공립 의료기관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적 균형을 고려하여 국• 공립 정신병원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국•공립 정신 의료기관은 모두 18개 기관으로 국립정신병원은 권역별로 5개 기관(국 립.. 2024. 4. 28.
정신건강과 정신병리의 개념 [ 목차 ]  1. 정신건강의 개념  2. 정신병리의 개념  3. 정신병, 정신질환, 정신장애의 개념1. 정신건강의 개념미국정신위생위원회(National Committee for Mencal Hygiene)의 보고서에 따르면, '정신건강이란 단지 정신적 질병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만이 아니고, 만족스러운 인간관계와 그것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모든 종류의 개인적•사회적 적응을 포함하며 어떠한 환경에도 대처해 나갈 수 있는 건전하고(wholesone), 균형 있고(balancd), 통합된(integraced) 성격의 발달'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이영호, 2003). 이러한 면에서 보면, 정신 건강이란 ‘행복하고 만족하며 원하는 것을 성취하는 것 등의 안녕상.. 2024.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