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사회복지21 정신건강사회복지 개요 [ 목차 ] 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의의와 정의 2.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구성요소 3.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팀워크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의의와 정의정신건강 영역에서 주로 다루는 정신질환은 복잡하고 만성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정신건강사회복지사는 정신건강문제로 고통을 겪고 있는 개인과 그 가족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이들이 지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 록 돕는 전문가입니다(정원철, 2007).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의의는 정신건강문제에 대하여 생애주기적 발달과정과 생태체계적 관점에 기초하여 전인적인 접근을 하고, 정신장애인의 치료와 재활에 필요한 심리사회적 제반 사항에 대한 조건을 규명합니다. 정신장애인의 치료와 재활에 필요한 사회복지 자원을 연결하고 개발하고, 정신장애인 가족의 역량을 강화시킴.. 2024. 4. 24. 현대 정신분석 이론 [ 목차 ] 1. 자아심리학 2. 대상관계 이론 3. 자기심리학1. 자아심리학자아심리학(ego psychology)은 Freud가 말년에 중시했던 자아의 기능을 정교하게 설명하고 자아의 자율적 기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Freud가 주장한 고전적 정신분석은 무의식과 본능적 추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에 추동심리학 또는 원초아 심리학이라고도 불립니다.자아심리학은 자아를 원초아의 파생물로 보기보다는 그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보며 자아의 자율적 기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고전적 정신분석은 자아가 원초아로부터 파생되는 것으로 가정하는 반면, 자아심리학은 기억, 지각, 운동 협응과 같은 독립적인 자아 기능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고전적 정신분석에서는 자아의 주된 기능이 원초적 본능과 사회.. 2024. 4. 22. 정신분석 치료 [ 목차 ] 1. 정신분석 치료의 목표와 원리 2. 정신분석 치료기법 3. 정신분석 치료과정1. 정신분석 치료의 목표와 원리정신분석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내담자의 성격구조를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데 있습니다. 내담자가 호소하는 증상은 성격의 구조적 갈등에 의해 파생된 것으로 내담자의 무의식적 갈등을 해결하고 건강한 성격을 함양함으로써 증상은 자연히 해소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증상의 제거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증상을 유발한 무의식적 갈등과 성격적 문제의 해결을 목표로 하는데 대부분의 정신장애는 어린 시절의 좌절경험에 뿌리를 둔 무의식적 갈등에 의한 것입니다. 내담자로 하여금 무의식적 갈등을 자각하여 해결하게 함으로써 정신장애가 치유될 수 있는데 이 정신분석 치료의 핵심적 원리는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것.. 2024. 4. 20. 행동치료에서의 학습원리 [ 목차 ] 1. 고전적 조건형성 2. 조작적 조건형성 3. 사회적 학습이론1. 고전적 조건형성Pavlov는 실험장치를 통해 개에게 고기를 주면서 종소리를 함께 들려주는 일을 여러 번 반복한 결과, 개는 종소리를 듣고 침을 흘리는 반응을 습득하였습니다. 개가 종소리에 침을 흘리는 행동을 학습하게 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 내용과 같습니다. 개는 고기를 주면 무조건 침을 흘리는데 이 경우에 고기처럼 무조건 침을 흘리게 하는 자극을 무조 건 자극(unconditioned stimulus)이라고 하고, 이러한 자극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유발되는 반응을 무조건 반응(unconditioned response)이라고 합니다. 처음에는 침을 흘리게 하지 못했지만 고기와 함께 짝지어 제시됨으로써 개로 하여금 침 흘리.. 2024. 4. 19.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