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행정

조직환경이론의 핵심 4가지

by raccoon5 2024. 3. 29.
반응형
 [ 목차 ]
  1. 구조상황이론
  2. 자원의존이론
  3. 신제도이론
  4. 조직군생태학이론

1. 구조상황이론

조직환경에 관한 이론의 발전은 개방체계이론을 적용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Katz와 Kahn(1978)은 조직을 개방체계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하면서 개방체계로서 조직의 특징을 설명하였습니다. 조직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이러한 체계이론의 도입은 조직현상을 보다 열린 시각에서 그리고 보다 폭넓은 시각에서 이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개방체계이론은 너무나 추상적이어서 비록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제한적이었으나 관점 자체는 조직환경이론 발전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개방체계관점의 적용을 통해 조직환경과 조직구조의 적합성이 조직의 성과,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구조상황이론입니다.

개방체계이론의 시각에 기초한 구조상황이론(structure-contingency theory)은 조직 구조를 디자인하는 데 있어 단 한 가지의 최선의 방법이란 있을 수 없고 조직의 설계는 조직의 맥락과 특히 조직이 관련을 맺고 있는 환경특성에 의존할 때 최선의 디자인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전제들로 구성되었습니다(신유근, 1998). 이 이론은 조직의 환경적 요구와 같은 맥락의 요구에 적합한 구조를 구성해 낼 수 있을 때에 적합성을 갖는 조직들은 그렇지 못한 조직보다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일 수 있다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정에서 구조상황이론은 조직의 환경적 제약에 대한 조직의 적응인 환경적 특성에 대한 구조적 적응이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데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2. 자원의존이론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가 기본적으로는 자원을 중심으로 한 권력관계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가정하며 조직은 생존에 가장 중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외부환경요소에 의존하면서 이의 통제하에 있는 것이 일반적 현실임을 부각한 이론이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e theory)입니다.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의 환경에 대한 의존적 현실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한 단계 더 나아가 조직이 의존관계를 구성하는 조직 환경에 대해 다양한 전략의 선택을 통해 의존성을 줄이고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적응해 나가는 실체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Aldrich & Pfeffer, 1976).

자원의존이론의 핵심적 주장은 첫 번째로 조직은 결코 자기 스스로 자원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자기 충족적인 존재가 아니라 외부환경으로부터 자원을 획득하지 않으면 존속할 수 없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조직은 환경에 의존하면서 자원을 획득하고, 획득된 자원의 처분을 위해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해야 하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직은 그 조직에 핵심자원을 제공하는 외적 환경요소에 의존하면서 이 요소에 의한 외적 통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조직이 이러한 메커니즘에서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지만, 조직은 여기서 완전한 의존을 용인하지 않고 스스로의 자율성을 확보하고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며, 동시에 다른 조직을 자기 조직에 의존하도록 하여 스스로의 권력의 범위를 확대하려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조직은 환경의 의존성과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환경에 대한 통제력을 높이기 위해 자원의존회피전략 등의 다양한 전략을 취하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3. 신제도이론

신제도이론은 조직과 환경간의 관련성을 다룬 여러 이론들 가운데 제도적 환경(institutional environment)의 중요성을 특히 강조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다른 이론들과는 구별되는 이론입니다. 기존의 조직환경이론들은 과업환경에 대해 관심을 집중하였으나, 신제도이론은 과업환경의 원천적장이 된다고 평가할 수 있는 제도환경에 주목하여 조직 환경의 핵심적 요소를 새롭게 인지 시키는데 기여했다고 평가를 받고 있다(신유근, 1998).

신제도이론은 개별조직들이 그들이 수행하는 활동에 대한 지원과 정당성을 얻기 위해 서 반드시 따라야만 하는 사회적 규범과 가치 및 문화적 규칙시스템, 즉 제도환경에 순응하는 것의 중요성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Scott, 1998). 신제도이론은 이러한 제도적 환경과 조직의 관계 및 조직 환경에의 동조(conformity) 등에 주목해서 논의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때 제도적 환경이야말로 조직의 행동과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원천으로서, 조직은 사회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도환경에서 기대하는 요소나 특성을 조직의 행동이나 구조에 반영하고 정착시켜야 하는 존재로서 동조적인 방식(conformity)을 통해 정당성을 확보해 나가 고 생존해 나가는 존재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Meyer & Rowan, 1977).

신제도이론에서 부각되는 것을 정리해 보면, 조직은 사회적으로 정당화된 기대를 내규 화하는 존재이고, 이러한 조직은 제도적 환경에 동조적 행동을 갖습니다. 바로 이러한 동조적 행동을 통해 정당성 및 합법성을 취득하고, 취득한 합법성을 기반으로 조직의 생존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것입니다. Hasenfeld(1992)는 사회복지조직과 환경의 관계를 가장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바로 자원의존이론과 신제도이론인데 그중 신제도이론은 사회복 지조직이 어떻게 생존해 나가고 있는가 그리고 어떻게 생존해 나가야만 할 것인가를 기술하는 가장 중요한 조직환경이론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4. 조직군생태학이론

조직환경이론들은 그것이 합리적 차원이든 무의식적 차원이든 간에 환경에 대한 조직의 적응이라는 현상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조직환경이론이 이렇게 조직의 환경에 대한 적응을 논하는 것은 아닙니다. 조직군생태학이론(organizational population theory 혹은 population ecology theory)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서 환경의 조직선택이라는 환경 결정론적 시각을 취하는 이론입니다.

Hannan과 Freeman(1984)은 기존의 이론들이 조직의 적응능력을 지나치게 과장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조직의 능동적인 적응은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합니다. 그 이유는 조직이 적응을 어렵게 하는 구조적인 관성 압력(strucural inertial pressures)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조직은 움직이지 않고 계속 멈추어 있거나 혹은 결정된 일정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하는 구조적 관성(structural inertia)을 갖는데, 구체적으로 조직 내적인 측면에서 설비투자, 매몰비용, 정보처리의 한계,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와 전통 등이 그러한 관성을 이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조직의 외적 측면에서 진입장벽, 철수장벽, 정보유통의 한계, 정부의 입법과 규제, 사회적 정당성 등이 그러한 관성을 이끈다는 것입니다.

조직군생태학이론은 조직은 환경의 변화속도보다 조직의 변화속도가 느림에 따라 구조적 관성을 나타내게 되고, 구조적 관성에 의해서 개별조직의 변화는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직의 환경적응은 어렵게 되며, 이에 조직은 환경에 의해서 선택 당하게 될 수 있다고 설명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