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조직기술의 정의 및 종류, 구성, 특징

by raccoon5 2024. 3. 28.
반응형
 [ 목차 ]
  1. 사회복지조직기술의 정의와 기능상의 종류
  2. 사회복지조직기술의 과정적 구성
  3. 사회복지조직기술의 특성

1. 사회복지조직기술의 정의와 기능상의 종류

Hasenfeld(1980)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을 “사회복지조직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을 현재의 지위에서 새롭게 처방된 지위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이들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문화적 특징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도화된 일련의 절차"로 정의하였습니다. 그의 정의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은 일반적으로 대상이 되는 사람들의 문제 상태에서 문제가 치유된 상태로의 변화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회복 지조직기술은 ‘제도화된 절차'임을 강조하는데, 이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회와 조직에 의해서 승인을 받고 합법화되는 것임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즉 사회복지조직의 대상은 사람으로 하고 있다는 것과 사회와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기술을 적용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은 보통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인간-처리기술, 인간-유지기술, 인간-변화기술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첫째, 인간-처리기술은 인간의 문제 혹은 욕구 등의 지위를 판단하는 기술로서 분류하고 배치하는 활동으로 구성됩니다. 둘째, 인간-유지기술은 인간의 안정화를 가져오기 위한 기술로서, 기본적으로 이 기술은 문제 상태를 악화시키지 않고 그들의 존엄성과 가능성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셋째, 인간-변화기술은 인간의 문제 상태에 대한 개입을 통해 지위의 부분적 변화 혹은 완전한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기술로서, 기본적으로 이 기술은 의도되고 계획된 바람직한 변화를 만드는 활동으로 구성됩니다.

2. 사회복지조직기술의 과정적 구성

Hasenfeld(1980)는 사회복지조직에 의해서 활용되는 기술은 클라이언트의 모집(tecruitment)과 선택(selection), 사정과 분류(assessment and cassification), 지위변화(status change), 종결(termination)과 확증(certification) 같은 과정적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먼저 일반적으로 사회복지조직기술은 클라이언트를 모집하고 선택하는 것으로 서비스를 받는 것이 적합한 클라이언트를 모집하고 그들의 적정성을 판정하는 기술을 적용한다고 설명합니다. 둘째로 이러한 과정 이후에는 사회복지조직이 클라이언트의 문제에 대해서 사정하고 분류하는 기술로 진단을 통해 변환되어야 할 것들을 명료화 시키는 기술을 적용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셋째로는 문제 상태에 대해서 미리 처방된 만큼의 변화를 실질적으로 가져오기 위해서 일련의 개입활동을 통해 지위를 변화시키는 기술을 적 용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는 세 번째 구성기술이 사회복지조직기술에서 핵심기술(core technology)로서 사회복지조직의 성공과 실패를 가늠하는 기술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핵심기술은 성공을 위해서 클라이언트의 순응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통제기법을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조직은 문제 상태에 대한 개입활동과 관련해서 종결을 할 것인지 혹은 지속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과 아울러 사회에 클라이언트의 변화된 상태에 대해 공적인 확증해 주는 기술을 적용한다고 설명합니다. 이처럼 사회 복지조직에서 클라이언트의 문제에 대한 개입을 통해 상태의 변화를 가질 때 언제 어떻게 종결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어지고 있습니다.

3. 사회복지조직기술의 특성

Hasenfeld(1980)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은 도덕적 시스템, 불확정적 시스템, 실행이념, 대면적 관계 기반, 클라이언트 통제 시스템으로서의 특성을 갖는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먼저 도덕적 시스템으로서 특성은 사회복지조직기술이 사회의 도덕과 가치, 규범을 반영하는 특징을 갖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개입대상에 대한 기술을 구성할 때 사회가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기대하는 가치에 부합하는 기술을 적용 하는 경향이 크다는 것입니다.

둘째로 사회복지조직기술은 불확정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데, 이는 사물이 아닌 인간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개입은 객관적인 지식만으로 그 개입의 효과성을 예측할 수 없으며 인간 그 자체에 대한 지식,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지식 그리고 인간의 문제에 대한 개입과 결과에 대한 인과적 지식에 대해 제한된 지식을 가지고 이를 응용하기 때문에 일정부분 불확정적인 특성을 지닐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셋째로 사회복지조직기술은 실행이념으로서의 특징을 갖는데, 여기서 실행이념은 사회복지사의 이념을 의미합니다. 사회복지조직기술은 앞에서 살펴본것처럼 사회적 가치 및 도덕기준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면서 동시에 불확정성의 특징을 갖고 있는 상태로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을 위해 개입활동을 펼쳐야 합니다. 이 상황에서 사회복지조직기술은 과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의 경험, 신념, 지혜와 기지 등을 통합해서 구성된다는 것입니다. 개입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회복지조직은 과학적 지식의 토대를 일정 부분 활용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의 토대는 항상 취약한 구조와 구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빈 공간을 조직이 대상 문제에 대해서 지니고 있는 믿음과 가치, 조직을 구성하는 개인의 경험과 신념 등에 기대어서 원천적 지식의 제한성을 보완해 나가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념적 경향이 반영되는 특성 때문에 사회복지조직 기술은 불확실성과 모호성이 있는 상황에서도 클라이언트를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 행하고 그러한 개입활동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 사회복지조직기술 의 이러한 이념적 특성 때문에 사회복지조직기술은 기존의 실행이념에 합치되는 지식만을 받아들이는 문제를 가질 수도 있다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넷째로 사회복지조직기술은 클라이언트와의 대면적 관계에서 적용되는 기술입니다. 사회복지조직기술은 전문가의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권한인 재량권을 상당히 존중하는 환경에서 기술이 적용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회복지조직기술의 이러한 특성은 사회복지조직에서 슈퍼비전이 지니는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조직기술이 클라이언트 통제시스템으로서 특성을 갖는다는 것은 사회복지조직기술이 클라이언트에 대한 통제와 순응을 가져오기 위해 다양한 통제수단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사회복지조직은 클라이언트에 대한 개입활동을 전개할 때, 개입의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를 적절히 통제해 나가 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회복지조직은 클라이언트에 대한 통제를 가져야만 조직의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