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2 직무분석과 설계 및 업무 분장 [ 목차 ] 1. 직무분석의 목적과 용도 2. 직무분석의 유형 및 기능 3. 직무분석을 위한 방법1. 직무분석의 목적과 용도‘인적자원관리의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던진다면, 아마도 그 대답은 업무과업에 대한 분석, 즉 직무분석(job analysis)이라고 답할 수 있을 것입니다.위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조직활동의 생산에 필요한 과업들을 분석하는 과정인 직무분석과 이에 기초한 업무설계(work design)를 갖게 될 때 확보할 수 있는 효용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직원채용 시 어떠한 사람이 채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명료화가 가능해지고, 둘째, 업무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대가 명확해지며, 셋째, 직원의 성과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넷째로 직원의 이직 시 업무를 지속적.. 2024. 3. 30. 조직환경이론의 핵심 4가지 [ 목차 ] 1. 구조상황이론 2. 자원의존이론 3. 신제도이론 4. 조직군생태학이론1. 구조상황이론조직환경에 관한 이론의 발전은 개방체계이론을 적용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Katz와 Kahn(1978)은 조직을 개방체계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하면서 개방체계로서 조직의 특징을 설명하였습니다. 조직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이러한 체계이론의 도입은 조직현상을 보다 열린 시각에서 그리고 보다 폭넓은 시각에서 이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개방체계이론은 너무나 추상적이어서 비록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제한적이었으나 관점 자체는 조직환경이론 발전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개방체계관점의 적용을 통해 조직환경과 조직구조의 적합성이 조직의 성과,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생존에 중요한 영향.. 2024. 3. 29. 사회복지조직기술의 정의 및 종류, 구성, 특징 [ 목차 ] 1. 사회복지조직기술의 정의와 기능상의 종류 2. 사회복지조직기술의 과정적 구성 3. 사회복지조직기술의 특성1. 사회복지조직기술의 정의와 기능상의 종류Hasenfeld(1980)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을 “사회복지조직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을 현재의 지위에서 새롭게 처방된 지위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이들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문화적 특징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도화된 일련의 절차"로 정의하였습니다. 그의 정의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은 일반적으로 대상이 되는 사람들의 문제 상태에서 문제가 치유된 상태로의 변화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회복 지조직기술은 ‘제도화된 절차'임을 강조하는데, 이는 사회복지조직기술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회.. 2024. 3. 28. 조직 문화 유형에 대한 연구자별 구분 조직 문화 유형 구분을 위한 연구자별 기준에 대해 알아보면 Harrsion은 공식화와 집권화의 두차원에서 구분하였고 Deal과 Kennedy는 조직이 목표달성을 위한 모험적 활동 전개와 그 결과에 따른 피드백에 따라 구분하였다. Denison은 준거의 초점과 변화추구 정도에 따라 구분하였고 Weiner는 가치관과 초점, Jones는 구성원간의 거래 통제를 위한 장치, Scholz는 환경과 진화 그리고 내부적 차원을 제시하였다. [ 목차 ] 1. Harrison의 조직문화 유형 구분 2. Deal & Kennedy 그리고 Denison의 조직문화 유형 구분 3. Weiner, Jones, Scholz의 조직문화 유형 구분1. Harrison의 조직문화 유형 구분Harrison(1972)은 조직구조의 .. 2024. 3. 27. 현대사회에서 관찰되는 조직 구조 형태 현대사회에서 관찰되는 조직 구조 형태는 복잡성과 공식화의 수준은 낮고 집권화의 수준은 높은 형태의 단순구조, 높은 수준의 분화와 공식화 및 집권화가 특징인 기계적 관료제 구조, 조직구성원이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갖는 전문적 관료제 구조, 각 사업부문이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사업부제 구조 등이 있다. [ 목차 ] 1. 단순구조 및 기계적 관료제 구조 2. 전문적 관료제 구조 및 사업부제 구조 3. 특별위원회 구조1. 단순구조 및 기계적 관료제 구조단순구조(simple structure)는 복잡성의 수준이 낮고, 공식화의 수준도 낮으며, 집권화의 수준은 높은 형태의 구조입니다. 일반적으로 단순구조의 형태에서는 통제의 범위가 상당히 넓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장점은 과업의 처리가 단순하고 .. 2024. 3. 26. 리더십 이론에서 팔로워의 역할, 유형, 조건 팔로워는 리더의 행동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동시에 리더 행동의 효과를 조절하는 조정자가 될 수 있으며 개인적 특성, 동기, 행동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모범형 팔로워는 리더십의 성공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 목차 ] 1. 리더십 이론에서 팔로워 역할 2. 리더십 이론에서 팔로워의 유형 3. 리더십 이론에서 팔로워의 조건1. 리더십 이론에서 팔로워 역할(roles of followers in leadership theories)전통적 리더십 이론은 팔로워를 리더의 영향을 받는 사람(followers as recipients of leader)이라는 관점으로 리더만이 유일하게 리더십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원인인 것으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금 발전된 부분.. 2024. 3. 25. 이전 1 ···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