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평가의 개념과 목적, 방법

by raccoon5 2024. 4. 8.
반응형
 [ 목차 ]
  1. 사회복지평가의 개념
  2. 사회복지평가의 목적
  3. 사회복지평가의 유형과 방법

1. 사회복지평가의 개념

우리가 일반적으로 호칭하는 '평가'는 엄밀하게 말하면 '평가조사'를 줄여서 부르는 것입니다. 평가조사는 영어로는 'evaluation researchi'를 의미하며, 이는 '사회조사(social research)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평가의 개념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넘어서, 평가는 이미 일상생활에서 피할 수 없는 삶의 일부가 되어 왔습니다. 식당에서 음식의 맛을 논하거나, 지난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화제로 논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는 평가의 일상화된 사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학술적 차원에서의 평가의 개념에 대해, Weiss(1998: 4)는 평가(evaluation research)를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개선을 목적으로 일련의 내재적•외재적 기준에 따라 효과성 혹은 시행상태를 체계적으로 사정하는 작업"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Rossi와 Freeman(1993: 5)은 평가 조사를 사회개입 프로그램의 개념화•설계•시행•효용성을 사정하기 위해 사회조사방법을 체계적으로 응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행정에서는 이러한 평가를 행정관리수단으로 인식합니다. 즉 평가는 ‘서비스가 욕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정확하게 제공되는가?’,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가?’, ‘서비스는 효과적인가? 그리고 효율적인가?’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게 되어 행정관리수단으로써의 역할을 지닌다는 것입니다(성규탁, 1994).

2. 사회복지평가의 목적

Rossi와 Freeman(1993)은 평가대상으로서의 프로그램, 조직, 혹은 정책에 대한 가치판단, 개선, 효용성 판단, 운영의 효과성 증진, 책임성 제고, 정보제공 등을 제시하며 평가의 기본목적으로 효과성을 측정하여 사업의 지속, 중단, 확대, 축소 등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최재성, 1998). 하지만 Weiss(1998)는 자신의 책 서문에서 자신의 경험을 근거로 평가조사가 반드시 주요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이로 인해 프로그램이나 정책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야 할 필요는 없다는 주장을 하였습니다.

또한 사회복지평가의 목적에 관해 성규탁(1994: 187-189)은 환류적 과정 평가, 책임성 이행평가, 학술적 평가연구의 세 가지를 들고 있습니다. 첫째, 환류적 과정평가는 프로그램 계획이나 운영과정에 필요한 정보를 확보하여 보다 바람직한 프로그램 운영이 되도록 노력하는 것으로서 프로그램 과정상의 환류기능에 초점을 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둘째, 책임성 이행평가는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책임성을 이행하는 차원에서 평가를 수행하는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셋째, 학술적 평가는 사회조사의 한 분야로서 평가연구의 학술성을 강조하며 이는 평가연구에서 보조적인 목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이와 함께 평가의 목적과 관련된 논의에서 Shadish와 Epstein (1987)의 연구는 실증적 분석을 통해 다양한 평가목적이 있을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습니다(최재성, 1998).

3. 사회복지평가의 유형과 방법

① 내부평가 대 외부평가

사회복지평가는 평가주체에 따라 내부평가와 외부평가로 구분됩니다. 내부평가(inside-evaluation)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운영을 담당하는 사람 또는 같은 조직 내의 다른 구성원이 실시하는 평가로서 자체평가로 불리기도 합니다. 내부평가는 조직이나 프로그램 운영의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자기반성적 성격을 가지게 됩니다. 반면 외부평가(outside-evaluation)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조직체가 아닌 대학교수, 조사연구기관 등 외부의 제삼자가 행하는 평가입니다. 외부평가도 내부평가와 마찬가지로 조직운영이나 프로그램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② 프로그램 평가 대 기관평가

사회복지평가는 평가대상이 기관(조직)인가 프로그램(단위사업)인가에 따라 기관평가와 프로그램 평가로 구분됩니다. 기관평가에서는 기관(조직)의 효과성이나 목표달성을 주로 강조하는 반면 프로그램 평가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에 주된 관심이 있습니다.

③ 총괄평가 대 형성평가

총괄평가는 프로그램이 종결된 이후 프로그램 결과를 평가하여 궁극적으로 프로그램이 미친 영향(impact)을 파악하기 위한 것입니다. 형성평가는 프로그램 수행 중간에 프로그램 운영 및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나 부작용의 발생과정을 밝히고, 향후 프로그램 운영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것입니다. 형성(과정) 평가는 프로그램 수행 중간에 프로그램의 운영 및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다음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합니다. 첫째, 형성평가는 프로그램이 원래 의도한 대로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하여 향후 프로그램 운영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의 중단•축소•유지•확대 여부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둘째, 형성평가는 프로그램이 의도한 효과나 예상치 못한 부작용 등이 발생하는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총괄평가를 보완하는 기능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