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1. 심리사회모델의 개념
2. 심리사회모델의 이론 : 정신분석 이론
3. 심리사회모델의 이론 : 대상관계이론, 자기 심리학 이론
1. 심리사회모델의 개념
심리사회모델(Psychosocial model)에서는 인간이 경험하는 문제를 심리적(정석적)이고, 사회적(환경적)인 문제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개인 내적인 문제는 심리적인 요인뿐 아니라 사회 환경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대부분의 사회 환경적인 문제도 역시 이를 경하는 개인의 개별적 요인에 따라 문제의 정도와 내용에서 개인 차이가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환경 속의 인간(Person-In-Environment)'을 중용하게 여기며 인간을 상황(환경)과 분리하여 이해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상황이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인간 역시 상황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의 현재 상황에서 출발(start where the clients)'하는 실천 원칙을 중용하게 여기며,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변화를 모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형성, 수용, 개별화 등의 개입방법을 강조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행동과 감정을 이해하고 통찰함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역량을 강화하도록 원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성장을 경험하고 잠재 가능성과 열망을 최대한 실현하도록 원조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우즈와 홀리스(Woods & Hollis, 2000)는 심리사회모델의 이론적 배경으로 생태체계론, 정신역동이론, 역할이론, 의사소통이론 등을 제시하였으나 심리사회모델의 주요 이론적 배경은 정신역동이론(Psychodunamic Teories)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심리사회모델의 이론 : 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Freud)는 모든 현상이 우연히 일어나는 것은 아니라 선행 현상에 의해 결정된다는 심리적 결정론(Pychological Determinism)을 주장하였습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적 결정론에 따르면 정신병리, 꿈, 말실수 등의 인강 행동은 우연히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무의식에 그 원인이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정신분석을 통해 정신병리 혹은 문제행동의 무의식적인 근원을 찾아낸다면 인간은 자신의 상황에 보다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데, 이 같은 정신분석은 무의식적 소망을 표현하는 꿈을 분석하거나 자유연상(Free Association)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인간의 성격은 이드와 자아, 초자아가 조화롭고 균형 있게 발전할 때 성국해지지만 만약 이드가 강하게 적용하게 되면 반사회적인 행동이 나타날 수 있으며, 초자아가 강하게 작용하면 지나친 죄책감이나 열등감, 수치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세 가지 성격 구조에 따라 인간은 다음의 세 가지의 불안을 느끼게 됩니다. 첫째 억압되어 있는 이드의 성적충동과 공격적 충동이 분출되어 처리된 것에 대한 신경증적 불안, 둘째 현실 세계에 있는 위협적인 상황에 대한 현실적 불안, 셋째 도덕적이나 양심에 위배되는 생각이나 행동을 할 경우 초자아에 의해 나타나는 도덕적 불안입니다.
3. 심리사회모델의 이론 : 대상관계이론과 자기 심리학 이론
대상관계이론(Object-relation Theory)은 프로이트 이후 발전한 자아심리학(Egopsychology) 이론 중 하나로서 대표적 학자는 클라인(Klein), 페어베언(Fairbain), 위니컷(Winnicott)입니다.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이론이 인간의 심리 내적인 부분을 강조한다면, 대상관계이론은 인간이 속한 환경과의 경험에서 발전한 대인관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인간은 과거 경험으로 형성된 기대에 따라 현재의 대인관계를 맺으며, 과거 경험은 내부 대상(Internal Objects), 즉 자기 자신과 대상관계에 대한 정신적 이미지로 남아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인간은 다른 사람들의 실체 특성보다는 내부 대사과의 유사성에 따라 대인관계를 맺으며, 특히 생애초기에 경험한 애착 대상과의 관계는 이후 대인관계 유형을 결정짓는다고 전제하고 있습니다. 갓 태어난 아기는 자기와 외부 대상을 구분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자기가 아닌 바깥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받아들여 젖을 주고 기저귀를 갈아주는 어머니 혹은 주요 보호자를 외부대상이 아닌 자기 자신으로 경험합니다. 이때 어머니는 객관적 대상이 아니라 자기 자신으로 체험하는 존재라는 뜻에서 자기 대상(Self-object)이라고 합니다. 자기와 외부 대상이 분리되지 않은 이 시기에 어머니가 사랑과 기쁨을 가지고 아기를 통보는 경우, 아기는 긍정적인 자기를 경험하게 되지만, 어머니가 원망과 짜증으로 아기를 돌보는 경우에는 아기는 부정적인 자기를 경험하게 됩니다.
프로이트는 자기애는 대상에 대한 사랑으로 발전하지 못한 원초적 상태를 뜻한다고 하여고, 코헛은 자기애가 인간심리의 기본적인 잠재력으로 성장발달에 꼭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자기애는 포기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성인의 자기애로 건강하게 성장 발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자기 대상은 아기가 필요로 하는 심리적 기능을 충족시켜 주는 양육자를 뜻하며, 코헛은 자기 대상관계가 어린 시절뿐만 아니라 일생동안 꼭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태어날 때부터 바로 죽기 전까지 자기 대상에 적절한 반응을 필요로 한다."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자기 심리학(Selfe Psychology) 이론을 정립한 코헛(Kohut, 1971, 1977)은 "모든 인간은 인정에 대한 열망을 가지며, 부모에게 인정받으며 자란 아동은 이를 내면화하여 자신감 있는 성격을 가지지만 부모의 무반응 혹은 거부적인 양육을 받은 아동은 인정에 대한 열망을 충족하지 못한 채 성장한다"라고 했습니다. 인정 열망을 충족하지 못한 아동은 성인이 되어서도 주위의 관심을 받고자 하지만 수용적 상황에서는 이를 표출하는 행동과 비수용적 상황에서는 이를 억제하는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사회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업중심모델의 개념, 특성과 강조점 (0) | 2024.05.31 |
---|---|
인지행동모델의 정의와 사회복지현장 적용 기술 (0) | 2024.05.30 |
행동형성을 위한 강화 조건부, 적용 및 계획 (0) | 2024.05.29 |
행동주의 모델의 관점과 전제, 인간행동 조건 형성 (0) | 2024.05.28 |
동기강화모델의 정의, 개념, 정신 (0) | 2024.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