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실천

위기개입모델의 정의와 개입과정

by raccoon5 2024. 6. 7.
반응형
 [ 목차 ]
  1. 위기의 정의와 위기상황의 유형
  2. 위기개입 목표와 초기 개입과정
  3. 위기개입 중기와 종결기

1. 위기의 정의와 위기상황의 유형

위기란 "위협적 혹은 외상적 위험사건을 경험하고 취약해지면서 일반적인 대처전략으로는 스트레스나 위상에 대처하거나 이를 경감시킬 수 없는 불균형(disequilibrum)의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기는 사건 자체보다는 사건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현실에 기초하는데, 같은 상황에서도 어떤 사람은 위기를 느끼는 반면, 다른 사람은 위기를 느끼지 않을 수 있습니다.

위기상황의 유형은 재해, 발달적 또는 변천적 위기, 상황적 위기가 있습니다. 재해는 자연재해와 인간에 의한 재해(인재)를 모두 포함합니다. 수재, 화재, 지진, 여객기 추락사고, 건물 붕괴, 다리 붕괴 등이 이해 해당합니다.

발달적 위기(developmental crisis)는 개인·가족·지역사회와 같은 사회체계의 발달과정에서 경험하는 위기입니다. 개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위기로서 청소년의 정체성 위기, 중년의 위기, 노년의 위기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가족도 생애주기에 따른 위기를 경험합니다. 예를 들어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시기, 사춘기 자녀 시기, 자녀가 독립하고 부모만 남게 되는 시기 등에서 위기를 겪을 수 있습니다.

상황적 위기(situational crisis)는 누구에게 언제라도 일어날 수 있는 위기로서 신체적 질병, 실직, 가족사망, 성폭력, 자살 등으로 인한 위기를 포함합니다.

2. 위기개입 목표와 초기 개입과정

위기개입은 매우 초점화된 단기 개입으로 위기개입의 목표는 제한적입니다. 래포포트(Rapoport, 1970)는 위기개입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는데, 이 목표들 가운데 처음 네 개는 최소한 달성해야 하는 목표이며 마지막 두 개는 상황이나 기회, 클라이언트의 성격 등이 허락하는 경우 달성할 수 있는 목표입니다.

  • 첫째, 위기로 인한 증상을 제거한다.
  • 둘째, 위기 이전의 기능 수준으로 회복한다.
  • 셋째, 불균형 상태로 만든 촉발 사건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한다.
  • 넷째, 클라이언트나 가족이 사용하거나 지역사회 차원에서 이용할 수 있는 치료 기제에 대해 규명한다.
  • 다섯째, 현재의 스트레스를 과거의 생애경험, 갈등과 연결한다.
  • 여섯째, 새로운 인식, 사고, 정서 양식을 개발하고 위기 상황 이후에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적응적 대처기제를 개발한다.

위기개입의 과정은 초기와 중기, 종결기로 나눌 수 있으며, 과정별로 사회복지사가 활용할 수 있는 활동과 지침들이 있으며, 초기 과정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기는 대개 클라이언트를 처음 대면하는 첫 회기로 이루어집니다. 초기에 사회복지사는 위기 상황에 즉각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지금 여기'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특히 이 단계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주관적 반응을 이끌어냄으로써 환기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반응에 대한 해석이나 직면보다는 클라이언트가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이성적으로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사회복지사는 현재 클라이언트의 곤경에 대해 평가하며, 클라이언트가 가장 중요한 문제를 무엇으로 보는지 탐색하고 클라이언트와 함께 표적 문제를 설정해야 합니다. 구체적 목표와 과업을 설정한 후 앞으로의 활동에 대해 클라이언트와 계약을 진행해야 합니다. 

3. 위기개입의 중기와 종결기

위기개입이 4-6회기에 걸쳐 이루어진다면 실행단계인 중기는 첫 회기부터 4회기까지 진행됩니다. 초기 단계와는 달리 중기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주요 주제들, 예를 들어 상실감, 자아존중감의 손상 등에 대해 깊이 탐색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과거에 대해서도 탐색합니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정서가 적절한 경우 공유하고, 감정은 적절하지만 대상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다 현실적인 방향으로 돌리며, 감정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습니다. 초기와는 달리 이 단계에서는 클라이언트가 보다 이성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직면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기의 주요 활동은 위험 사건 이후의 자료를 조직화하고, 단기에 성취할 수 있는 목표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업들에 대해 작업함으로써 행동 변화를 초래하는 것입니다. 특히 클라이언트가 목표를 달성하고 자율성을 회복함에 따라 사회복지사는 소극적 역할로 전환할 필요가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원과 지지체계를 찾아내어 클라이언트가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종결 기는 마지막 한 두 회기로 이루어집니다. 종결기에서 사회복지사는 종결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저항을 다루어야 하며 성취한 과업, 목표, 변화뿐 아니라 성취하지 못한 것들에 대해 점검하며, 클라이언트의 활동 계획에 대해 논의해야 합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사회복지사에게 의존하지 않도록 격려함과 동시에 클라이언트가 활용할 수 있는 지지원으로 사회복지사를 인식하도록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