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실천

해결중심실천 과정과 지침, 목표 설정 원칙

by raccoon5 2024. 6. 4.
반응형
 [ 목차 ]
  1. 실천과정
  2. 협력관계 유형에 따른 실천지침
  3. 목표설정 7대 원칙

1. 실천과정

  • (첫 시작) 기관의 사정에 따라 사회복지사는 사례발굴, 타 기관의 의뢰, 혹은 기관 홍보를 통해 클라이언트를 처음 만나게 됩니다. 만남은 클라이언트와 또는 그 환경체계와의 전화 통화, 사회복지사의 직접 가정방문 또는 클라이언트의 기관방문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렇게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 그를 둘러싼 환경체계들과 가장 먼저 만나 일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담업무에서 가장 고려해야 하는 업무는 클라이언트와 그 체계들과의 직접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그 원하는 것을 향한 해결책을 구축하기 위해 강점을 사정하고 목표로 나아가기 위한 클라이언트와의 면담활동을 통한 첫 시작이 있게 됩니다. 사회복지사는 이 첫 시작에서 다양한 환경에 처한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유형에 따른 협력 기술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 (목표로 나아가기) 클라이언트와 협력적인 첫 시작이 이루어졌으므로 사회복지사는 계속해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에 주목하고 클라이언트가 성취할 수 있는 작고 구체적인 목표를 클라이언트와 함께 협의해 가야 합니다.  목표를 협의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 동안 클라이언트는 자신과 가족에게 도움이 되는 것들을 발견하고 확인해 가면서 초기에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존재하던 힘이 자연스럽게 클라이언트에게 모두 이양되도록 해야 합니다.
  • (종결)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한 것과 자신에게 무엇이 도움이 되는가를 잘 인식하고 있고, 자신의 성공 경험을 다른 어려운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문제가 재발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다는 확신이 있다면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종결 과정에 대해서 상의할 수 있는 시점이 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더 이상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확신에만 의존하지 말고 종료 후에도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봉착되었을 때, 언제 어디로 도움을 받으러 가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어야 하며 사회복지사도 클라이언트가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확신이 있어야 합니다. 종결과정에 이르기까지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 합의한 목표가 어느 정도 성취되었는지를 척도질문을 통해 정기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재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처한 상황을 질문하여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사회복지사는 스스로 얼마나 목표를 달성해 가고 있는지도 질문해 보아야 합니다. 이때 클라이언트가 성취한 것이란 사회복지사와 함께 협력하여 이루어 낸 것이므로 사회복지사는 목표 달성을 향한 진전을 계속 평가하면서 클라이언트는 무엇을 구체적으로 얼마만큼 성취했고, 앞으로 혼자서 무엇을 더 할 필요가 있는지 탐색해야 합니다. 연결된 지속적인 과정들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이 확인되면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와의 종결에 대한 의논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

2. 협력관계 유형에 따른 실천지침

  • (방문형 관계) 지발적인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사이에서 발견되는 초기 관계유형으로 방문형 관계에서는 클라이언트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없고,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본인의 의지로 참여한 것이 아니라 마지못해 참여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기 어렵고, 행동 과제를 주기도 어렵습니다. 방문형 관계에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비자발적인 태도를 수용해 주되, 클라이언트가 사회복지사와의 관계에서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개입해야 합니다.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가 없는 클라이언트이므로 회기와 회기 사이에 스스로 해야 할 과제를 주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처한 환경에서 하고 있는 행동 중 클라이언트 자신에게 유용한 것들을 칭찬하는 것으로 회기를 마무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상담을 위해  방문한 것에 대한 어려움을 공감해 주고, 다음 회기에서 무엇을 할 지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등이 도움이 됩니다.
  • (불평형 관계) 불평형 관계에서 클라이언트는 문제가 무엇인지 적극적으로 진술하고, 문제해결이나 변화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그러한 변화를 위해 자신은 노력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취하는 경우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문제라고 보는 사람을 사회복지사가 변화시켜 주기를 바라거나 그 사람으로 인한 자신의 좌절과 실망을 표현하는 데 집중합니다. 따라서 불평형 관계에서 실천의 초점은 클라이언트의 관점을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두어 예외 상황을 관찰하는 과제를 부여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예외상황을 관찰하는 가운데 타인의 노력과 문제가 덜 발생했을 때의 상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남편의 음주문제가 부부 갈등의 주된 원인이라고 불평하는 클라이언트에게 매일 술을 먹던 남편이 술을 먹지 않고 귀가하거나 술자리에 갔다고 하더라도 일찍 집에 온 경우, 술자리 약속이 있었는데 취소한 경우 등 예외적인 상황이 있었는지,  작은 예외라도 있었다면 언제였는지, 그러한 예외 상황에서 클라이언트가 영향을 미친 것은 없는지 관찰하고 기록해 오는 과제를 줄 수 있습니다.
  • (고객형 관계) 고객형 관계 유형은 클라이언트가 원해서 상담을 요청한 경우에 주로 발견됩니다. 이러한 관계 유형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공동의 목표와 해결방안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문제 인식도 있고, 상담을 통해 자신이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 알고 있습니다. 또한 이를 위해 자신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목표와 관점을 존중하되, 클라이언트의 해결책을 원좌는 전문가로서의 유능감과 자신감을 가져야 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자신을 문제 해결의 주체로 생각하고 사회복지사의 의견을 존중하며 사회복지사가 주는 과제 또한 적극적으로 수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이러한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을 칭찬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 시도를 탐색하고 확장할 수 있는 질문을 하며, 다양한 시도 중에 어떤 시도가 가장 효과적이었는지 찾아낼 수 있도록 돕고, 효과적인 것에 더욱 초점을 둘 수 있는 과제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3. 목표설정 7대 원칙

  • 내담자에게 중요한 것을 목표로 하기 : 개입 목표는 내담자에게 중요하며 유익한 것이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미 형성된 어떤 원칙에 근거하여 전문가의 목표나 프로그램의 목표를 주장하기보다는 내담자에게 중요한 모교를 개입 목표로 설정하는 경우 내담자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노력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전문가가 내담자자에게 접근해 가면서 협조할 때 내담자는 전문가에게 협조적이며 개입과정이 훨씬 쉬워지므로 개입 기간이 단축됩니다.
  • 작은 것을 목표로 하기 : 내담자가 설정하는 목표가 작을수록 내담자가 쉽게 목표를 성취할 수 있습니다. 성취감은 내담자로 하여금 성공의 경험을 가지게 함으로써 희망과 변화하고자 하는 동기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구체적이며 명확하고 행동적인 것을 목표로 하기 : 목표가 "행복하게 되는 것" 또는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것"과 같이 추상적으로 설정되면 목표를 성취하고 있는지와 개입 결과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내담자로 하여금 성공의 경험을 가질 수 없게 합니다. 그러므로 전문가는 내담자가 진행하고 있는 것을 쉽게 평가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 없는 것(문제를 없애는 것) 보다는 있는 것(바람직한, 긍정적인 행동들)에 관심을 두기 : 문제시되는 것을 없애는 것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하기 바라는 또는 긍정적인 행동에 관심을 둔 목표가 더 성취하기 쉽습니다. 
  • 목표를 중식보다는 시작 단계로 간주하기 : 내담자들은 처음에 왔을 때 문제가 완전히 사라지거나 성취하기를 바라는 최종 결과에 목표를 두고 있지만 내담자가 목표를 향해 나가도록 도움을 받지 않는 한 내담자의 목표는 희망일 뿐 아무것도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전문가는 내담자의 견해를 전적으로 수용하는 한편, 원하는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서 처음 단계에서 필요한 것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 내담자의 생활에서 현실적이고 성취가능한 것을 목표로 하기 : 내담자의 생활환경에서 어떤 것이 현실적으로 성취가 가능한지, 혹은 비현실적이고 성취가 불가능한지를 함께 탐색하며 현실적으로 성취가능한 것을 목표로 설정해야 합니다.
  •  목표수행은 힘든 일이라고 인식하기 : 내담자가 목표란 힘든 일이라고 인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