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2 인지행동모델의 정의와 사회복지현장 적용 기술 [ 목차 ] 1. 인지행동모델 이란 2. 합리적 정서행동 치료기술 3. 인지치료 및 문제해결치료 기술1. 인지행동모델 이란? 인지행동모델(cognitive-behavioral models)은 사회복지실천 개입을 위한 하나의 실천 모델이 아니라 1960년대부터 등장한 다양한 인지행동모델등을 총칭하여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그러나, 모델들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인지행동모델은 기본적인 다음의 가정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인지활동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두 번째로 인지활동은 모니터링되고 변경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세 번째로는 바람직한 행동의 변화는 인지변화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입니다.(Dobson & Dozois, 2019)인지행동모델은 문제에 초점은 둔 시간제한적인 접근으로써 클라.. 2024. 5. 30. 행동형성을 위한 강화 조건부, 적용 및 계획 [ 목차 ] 1. 행동형성을 위한 네 유형의 강화 조건부 2. 행동형성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적용 3. 행동형성을 위한 강화 계획1. 행동형성을 위한 네 유형의 강화 조건부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행동의 발생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칭찬하거나 용돈을 준다면, 행위자가 다음에도 그 행동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칭찬, 용돈과 같은 정적 강화물은 행동이 방출되었을 때 즉시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효과적이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를 돕는 행동을 한 아이에게 시간이 한참 지난 후에 칭찬하기보다는 행동 직후에 칭찬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너는 참 좋은 아이구나"라고 말하기보다는 "너는 도움이 .. 2024. 5. 29. 행동주의 모델의 관점과 전제, 인간행동 조건 형성 [ 목차 ] 1. 행동주의 모델의 관점 및 기본전제 2. 인간행동의 고전적 조건형성 3. 인간행동의 조작적 조건형성 및 대리적 조건형성1. 행동주의 모델(Behaviorl model)의 관점 및 기본전제행동주의모델에서는 관찰 가능한 행동과 초점을 두고 이를 분석하고 변화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합니다. 특히 행동주의모델은 구체적/객관적이며 관찰 가능한 문제의 규정과 변화 목표, 개입과정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구체성과 객관성, 관찰 가능한 것에 대한 강조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상호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실천연구와 평가, 책무성을 증진시킵니다. 행동주의 모델은 바람직한 행동의 학습이나 행동수정이 필요한 아동-청소년뿐만 아니라 행동 개선이나 사회기술의 향상을 원하는 클.. 2024. 5. 28. 심리사회모델 개념 및 이론 [ 목차 ] 1. 심리사회모델의 개념 2. 심리사회모델의 이론 : 정신분석 이론 3. 심리사회모델의 이론 : 대상관계이론, 자기 심리학 이론1. 심리사회모델의 개념심리사회모델(Psychosocial model)에서는 인간이 경험하는 문제를 심리적(정석적)이고, 사회적(환경적)인 문제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개인 내적인 문제는 심리적인 요인뿐 아니라 사회 환경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대부분의 사회 환경적인 문제도 역시 이를 경하는 개인의 개별적 요인에 따라 문제의 정도와 내용에서 개인 차이가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환경 속의 인간(Person-In-Environment)'을 중용하게 여기며 인간을 상황(환경)과 분리하여 이해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상황이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인간.. 2024. 5. 27. 동기강화모델의 정의, 개념, 정신 [ 목차 ] 1. 동기강화모델의 이론적 배경 및 정의 2. 동기강화모델의 주요개념 3. 동기강화모델의 정신1. 동기강화모델의 이론적 배경 및 정의 동기강화모델(Motivatinal Interviewing : MI) 모델은 밀러(Miller)와 롤닉(Rollnick)이 개발한 개입 방안으로써 변화를 위한 동기를 강화하는 대화방법입니다.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같이 동기 수준이 낮고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가 많은 경우에는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동기강화모델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클라이언트중심 상담이론, 인지부조화이론, 자기지각이론, 초이론적변화모델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동기강화모델은 클라이언트 자신의 변화의 동기와 결심을 견고히 하도록 돕는 협동적인 대화 스타일입니다... 2024. 5. 26. 이론적 측면에서 척도의 구분 [ 목차 ] 1. 척도의 형태 2. 측정의 종류 3. 관심 대상에 따른 구분1. 척도의 형태척도의 형태(type of scale)는 측정하고자 하는 사물 혹은 사건의 속성이 척도가 가질 수 있는 숫자의 특성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는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 네 가지로 구분됩니다.서열척도(ordinal scale)는 측정대상 간의 순서관계를 밝혀주는 척도로, 측정대상의 특정한 속성으로 판단하여 측정대상 간에 대소나 높고 낮음 등의 순위를 부여해 주는 척도입니다. 그러나 측정대상 간의 해당속성의 양적인 비교를 할 수 있는 정보는 제공해 주지 못합니다. 등간척도(interval scale)는 속성에 대한 순위를 부여하되 순위 사 이의 간격이 동일한 척도를 말.. 2024. 5. 25.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7 다음